루테인은 눈의 영양제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루테인의 효능과 영양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루테인이란?
루테인은 카로티노이드 성분 중 하나인데, 카로티노이드가 뭐냐면 식물이나 동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색소로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을 띱니다.
화학식으로 C40H56O2인데 이렇게까지 들어가면 어려우니 쉽게 이야기하면, 이 물질이 눈의 황반과 수정체 그리고 뇌, 피부, 심장, 척추조직에 집중적으로 있는 성분이라고 보면 됩니다.
특히 자외선을 흡수하여 눈을 보호하고 활성산소를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루테인은 비타민C처럼 체내에서 직접 만들어 낼 수 없는 물질로 음식을 통해서만 섭취해야 하는데요. 시금치나 브로콜리, 케일 등 녹색채소, 계란 노른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20세가 넘어가면서 루테인은 인체에서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어서 나이가 들수록 신경 써서 섭취해 줘야 합니다. 다만, 루테인을 먹는다고 시력이 좋아지는 건 당연히 아니고, 눈에 좋을 것?이라는 측면에서 먹는다고 볼 수 있지요...
2. 루테인의 효능
1) 기억력 개선
-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뇌 노화가 오는데, 개념추론, 기억력 처리속도 등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면, 루테인을 섭취한 그룹에서 상확적 기억 같은 일부 기능지표 처리 능력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있기도 했습니다.
2) 황반변성 개선
- 황반 변성은 망막 색소와 광 수용체 세포의 신경 퇴화와 관련된 시각 장애를 말하는데 쉽게 이야기하면 흐릿하게 보이는 등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대표적으로는 노화이고, 나이가 들면 들수록 눈이 잘 안 보이게 되지요. 루테인 같은 보충제를 먹은 그룹에서 황반 개선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습니다만 사실상 제한적인 연구결과였습니다.
3) 골다공증 개선
- 뼈와 루테인과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 개인적으로는 약간 의아합니다만, 어느 연구결과에서 혈청 루테인과 지아잔틴 농도와 골질과 관련이 없으나 환반 색소 밀도가 근위 대퇴골 및 요추의 골밀도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루테인이 풍부한 식단을 장기간 섭취한다면 뼈의 상태 개선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골다공증 및 골정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이지요
4) 빛 민감성 향상
- 루테인 섭취는 황반 색소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암 적응 능력을 향상합니다. 암 적응 능력은 빛이 감소할 때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능력개선으로 시각 정확도도 향상되고 , 눈의 회복력도 향상해 눈부심 장애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3. 루테인의 부작용
- 루테인의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유일한 부작용은 손과 발의 비부가 황변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체질이 루테인에 더 민감하고 불충분한 신진대사가 발생하면 노랗게 변할 수 있으니, 장기 고용량 복용은 의사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관련 대규모 장기간 연구에서도 특별한 독성과 부작용이 없었다고 합니다.
4. 섭취 유의사항
1) 임신과 수유 중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으니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2) 낭포 성 섬유증(cystic fibrosisi) 환자는 카로티노이드의 흡수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대체 지방(Olestra)이 포함된 간식을 먹거나 다른 카로티노이드 보충제를 사용하면 흡수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4) 녹내장을 앓고 있는 여성이 장기간 섭취 시 망막 결정 침착이 발생한 사례가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5) 고용량(하루 20mg 이상) 복용하는 사람 중 흡연자는 폐암 발병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5. 영양제, 보충제 선택
루테인은 단독으로는 기능하지 못하고 ARe DS formula라고 해서 루테인 10mg, 제아잔틴 2mg, 아연 80mg, 구리 2mg, 비타민 C 500mg, 비타민 E 400 IU를 조합하여야 하는 데다가, 비율을 잘 맞추어야 하는데 시판되는 대부분은 잘 비율이 맞지 않는다고 합니다.
사실상 일반 영양제로서의 루테인은 눈 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하기 어렵고 특별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최근에 밝혀지고 있어서 굳이 챙겨 먹어야 하나라는 의견이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루테인을 드실 분들은 좀 더 정보를 수집하시고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루테인의 복용량은 일반적으로는 10mg 정도가 권장되고요 부작용에서 언급했듯이 2 0mg 이상은 안 드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루테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자료를 조사하고 찾아보는 동안 느낀 거지만 루테인은 조금 거품이 낀 영양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효능이나 연구결과도 제품을 위한 단기간 연구결과인 듯하고요...
개인적인 의견이니 각자 건강을 위해서 잘 알아보시고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과 함께 마시는 영양제 밀크씨슬의 효능과 효과 (0) | 2023.05.01 |
---|---|
머리카락이 빠지시나요? 비오틴 드셔보세요! (비오틴 효능과 부작용) (0) | 2023.04.30 |
케르세틴의 효능과 부작용, 보충제 선택 가이드 (0) | 2023.04.28 |
커큐민의 효능과 부작용, 섭취방법까지 한방에 정리! (0) | 2023.04.25 |
클로렐라 개요, 인체에 미치는 영향, 효과적인 섭취방법 등 (0) | 2023.04.24 |